banner
뉴스 센터
탁월한 서비스 우수성

심각한 코로나19에서 CCL18 및 CCL21을 통해 뚜렷한 조직 틈새가 폐 면역병리학을 지시합니다.

May 24, 2023

Nature Communications 14권, 기사 번호: 791(2023) 이 기사 인용

3798 액세스

22 알트메트릭

측정항목 세부정보

장기간의 폐 병리 현상은 코로나19와 관련이 있지만, 이 만성 염증성 질환의 이면에 있는 세포 및 분자 메커니즘은 제대로 이해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고급 이미징과 공간 전사체학을 결합하여 중증 코로나19의 국소 면역 반응을 밝힙니다. 우리는 활성화된 외막 틈새가 장기간의 폐 면역병리학의 조율에 기여하는 중요한 미세 환경임을 보여줍니다. 케모카인 CCL21 및 CCL18의 상향 조절은 이러한 틈새 내에서 내피에서 중간엽으로의 전이 및 조직 섬유증과 연관됩니다. CCL21 과발현은 동족 수용체 CCR7을 발현하는 T 세포의 국소 축적과 추가로 연결됩니다. 이러한 T 세포에는 소진된 표현형이 각인되어 있으며 이소성 림프 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 림프 집합체를 형성합니다. 우리의 연구는 활성 바이러스 감염을 넘어 조직 리모델링을 지속시키는 자립적이고 해결되지 않는 국소 면역 반응을 촉진하는 면역-기질 상호 작용 메커니즘을 제안합니다.

외막 틈새는 기도 주변뿐만 아니라 중대형 혈관의 가장 바깥층에서 발견되며, 면역 세포가 간질 세포 및 혈관계와 상호 작용하여 조직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특수한 미세 환경을 나타냅니다1. 심각한 조직병리학적 변화와 폐의 면역 세포 침윤이 있는 코로나19 과정. 이는 SARS-CoV-2 감염의 직접적인 결과로 발생하지만2, 조절 장애가 있는 면역 반응을 통해 간접적으로 발생하며3, 혈관 상피 장벽의 기능적 붕괴로 이어집니다4. 질병의 후기 단계에서는 미세 해부학적 폐 구조를 복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조직 리모델링 메커니즘이 일부 개인에게서 손상된 것으로 나타나 조직 흉터 및 폐 섬유증을 유발하여5, 이는 만성 호흡기 증상 및 섬유성 질환5,6에 기여합니다. 폐의 섬유아세포 수 증가와 함께 비정상적인 대식세포 침윤은 중증 코로나19 질병의 특징으로 제안되었습니다7,8. 또한, 코로나19 폐에 축적된 대안적으로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섬유화 촉진 특성을 보이지만9, 섬유증을 촉진하는 정확한 메커니즘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세포독성 림프구 및 B 세포의 수가 증가하여 기도 면역 환경의 장기적인 변화가 최근 코로나1910의 후유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폐로의 과도한 면역 침투를 중재하는 모집 경로와 그것이 질병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조직 병리가 표적 기관의 바이러스 저장소의 결과인지, 자가면역 메커니즘에 의해 발생하는지, 아니면 두 현상이 모두 질병에 기여하는지 여부는 지속적인 논의의 문제입니다. 급성 후 장기 심혈관 증상14 및 만성 폐혈관 질환6을 강조하는 최근 보고서와 함께 코로나19 질병의 병리 메커니즘에서 내피 기능 장애의 중요성과 함께 외막 틈새는 면역 세포의 역할을 밝히기 위해 특별한 주의를 기울일 가치가 있습니다. 지속적인 조직 손상.

여기서는 조직병리학, 다중 조직학, 전자현미경(EM), 3차원 광시트 현미경(LSFM), 단일 핵 RNA 서열 분석(snRNASeq) 및 공간 전사체학(ST)을 결합하여 케모카인 - 케모카인 수용체 상호 작용에 대한 통찰력을 얻었습니다. 코로나19 기간 동안 폐 틈새 내에서 발생합니다. 우리는 활성 바이러스 감염을 넘어 자립적이고 해결되지 않는 국소 면역 반응을 촉진하는 조절 장애가 있는 면역 간질 누화를 제안합니다. 우리의 독특한 공간 접근 방식은 내피 기능 장애를 섬유증의 시드 포인트로 나타나는 외막 틈새 내의 조직 리모델링 경로의 유발 요인으로 식별합니다. 이러한 틈새는 장기간의 코로나19에서 소진된 프로필이 각인된 T 세포와 B 및 T 세포로 구성된 면역 세포 집합체를 수용하는 특수한 미세 환경으로 나타납니다.

 216). The 2-D fluorescence images generated were subsequently segmented and analyzed./p>